It's always fascinating to watch animals in the wild. Many have beautiful and weird morphologies/behaviours, which intrigue us and make us think about why they have such peculiar traits. Our lab is studying such features using various research tools developed in the field of behavioural ecology and evolutionary biology.
More specifically (and academically), we mainly focus on understanding (i) the evolutionary processes that have shaped the intra- or inter-specific variation in traits, (ii) the function and evolution of animal colouration and behaviours, (iii) the role of predator cognition on the evolution of prey defences, (iv) how environmental differences shape local adaptations.
Below are the main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earch tools we use.
More specifically (and academically), we mainly focus on understanding (i) the evolutionary processes that have shaped the intra- or inter-specific variation in traits, (ii) the function and evolution of animal colouration and behaviours, (iii) the role of predator cognition on the evolution of prey defences, (iv) how environmental differences shape local adaptations.
Below are the main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earch tools we use.
Behavioural experiments on various subjects
Our lab studies various aspects of insect (more generally animal) behaviours.
Our lab studies various aspects of insect (more generally animal) behaviours.
나방의 위장술 연구 결과 밝혀낸 나방의 행동. 나무껍질에서 쉬는 자나방과의 많은 나방들은 이러한 위장 강화 행동들을 보인다.
|
내륙과 제주도 무당개구리의 행동차이. 제주와 내륙개구리는 이러한 행동 외에도 형태적인 측면에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아직 규명되지 않은 내륙/제주 개체군의 차이는 훨씬 많을 것이다.
|
꽃매미 (Lycorma delicatula)의 deimatic display 행동. 외래종인 꽃매미는 전형적인 deimatic display 를 보이는 종이다.
Deimatic display 방어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제작한 Robotic moth 와 야생 새와의 만남. 실험을 했던 Ottawa 의 Stony Swamp 지역의 Black-capped chickadee 들은 사람들이 먹이를 주는 것에 익숙해서 사람들을 경계하지 않았다.
|
Flash coloration 연구를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이 실험은 flash coloration 이 실제 피식자의 생존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Flash coloration 에 대한 연구는 이제 걸음마 단계이며, 많은 부분들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Deimatic display 후속 연구에서는 병아리를 포식자로 이용하였다.
|

Comparative studies using phylogenetic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is a powerful tool for exploring the evolutionary patterns in animal traits. Our lab conducts various inter-specific comparisons using modern phylogenetic analyses.
Comparative analysis is a powerful tool for exploring the evolutionary patterns in animal traits. Our lab conducts various inter-specific comparisons using modern phylogenetic analyses.
영국 자연사박물관 표본을 이용한 유럽나비들의 색채와 적외선(near-infrared)영역 반사도 연구를 통해 나비들의 적외선 반사도가 기후와 상관성을 가지며 진화했다는 결과를 보고했다. 종간비교분석 연구는 '큰 스케일'에서의 진화적 변화양상을 연구하기에 적합하다.
|
5개 서로 다른 분류군의 459종의 곤충의 색채와 크기를 분석한 결과 deimatic/flash displays 전략을 보이는 곤충들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종에서 선택적으로 진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박각시과(Sphingidae)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는데, 박각시과에서 유독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Amphibian biology
Our lab is also interested in amphibian biology as well. The research themes include local adaptations, colour change, and human impact on amphibians.
Our lab is also interested in amphibian biology as well. The research themes include local adaptations, colour change, and human impact on amphibians.